본문 바로가기

사회

2024년 총선 부정선거 의혹과 선관위 해명 – 진실은 무엇인가?

반응형
2024년 대한민국 총선을 둘러싼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해 선거관리위원회의 공식 입장을 정리했습니다. 투표지 분류기와 모바일 신분증 해킹 논란에 대한 사실 확인을 통해 불안을 해소하세요.

부정선거? 전자개표기 해킹? 진실은 이렇습니다.

최근 들어 다시 고개를 드는 '부정선거' 주장. 일부 유튜버와 커뮤니티에서 "해킹이 가능하다", "전자개표기 조작이 의심된다", "유심 정보가 털릴 수 있다"는 식의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언뜻 들으면 그럴싸하게 들릴 수 있지만, 이 주장들 대부분은 '사실'이 아닌 '의혹 제기'에 불과합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 같은 의혹에 대해 구체적이고 기술적인 해명을 내놨습니다. 그 핵심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 한국은 '전자투표'가 아닌 '수개표 국가'입니다.

우선, 우리가 사용하는 시스템은 '전자투표'가 아닙니다. 투표지는 종이로 작성되고, 사람이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검표합니다. 기계는 그저 분류와 계수를 보조할 뿐입니다.

사용되는 기기:

  • 투표지 분류기: 후보자별로 투표용지를 분류하는 기계
  • 심사계수기: 분류된 투표용지를 몇 장인지 세는 기계

이 두 기기는 모두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 해킹은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있습니다.


✅ '수검표' 시스템으로 조작 가능성은 더 낮아집니다.

많은 분들이 "수개표로 전환하라"고 요구하지만, 사실 한국은 이미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투표가 끝난 후 분류된 투표지들은 사람이 직접 한 장 한 장 세는 '수검표' 절차를 거칩니다.

개표소에는 정당 참관인과 시민 감시 인력이 상주해 있고, 누구든지 개표 과정을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조작을 하려면 수십 명에서 수백 명을 공모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한 일입니다.


✅ '모바일 신분증 해킹'?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합니다.

"유심 해킹을 통해 모바일 신분증을 조작해 선거를 조작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기술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 모바일 신분증은 한 대의 스마트폰에만 설치됩니다.
  • 다른 기기로 발급을 시도하면 기존 기기의 신분증은 자동 삭제됩니다.
  • 발급 시 얼굴 인식과 신원 확인 절차가 반드시 진행됩니다.
  • 유심 정보만으로 모바일 신분증을 복제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결국, 이 주장은 기술적 이해가 부족하거나, 공포를 조장하려는 의도가 섞인 경우가 많습니다.


🤔 왜 이런 '무서운 말'들이 계속 나올까요?

중앙선관위 관계자의 말처럼, 해킹 기술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기술적 이해 없이 일부 주장만 반복적으로 접하게 되면 사람들은 불안해지기 마련입니다. 특히 '의혹'이 언론 보도나 유튜브 콘텐츠를 통해 반복되면, 검증되지 않은 주장이 '사실처럼' 받아들여지기 쉽습니다.


✍️ 마무리하며

비판과 감시는 민주주의의 필수 요소입니다. 그러나 그 전제는 사실에 기반한 비판이어야 합니다.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주장이 모두 진실은 아니며, 공식적인 설명과 기술적 사실도 함께 살펴보는 시선이 필요합니다.

선거의 공정성은 국민 신뢰에서 출발합니다. 무분별한 의혹 제기가 아닌, 검증된 정보와 건강한 토론을 통해 신뢰를 다져가야 할 때입니다.

 

(참고) 출처 1.  https://youtu.be/hzRpEdQDTaM?si=dcRE_dVIiHlg9uQp

  출처 2. https://youtu.be/6Ns10gBRmEE?si=VodB8GxR-XLBHudL

 

 

728x90
반응형